31조 8000억 원 규모 추경 국회 통과…소비쿠폰, 이달 1차 선지급
물가 부담과 경기 침체로 어려움을 겪는 국민들의 민생 안정과 경제 활력 회복을 위해, 정부가 31조 8000억 원 규모의 **2025년도 제2회 추가경정예산안(추경)**을 편성하고 국회 본회의에서 통과시켰습니다. 이번 추경은 기존 정부안보다 1조 3000억 원 증액된 규모로, 경기 진작·민생 지원·신산업 투자 확대를 핵심으로 다양한 분야에 재정 투입이 확대됩니다.
🔍 왜 이번 추경이 중요한가?
2025년 2차 추경은 단순한 예산 조정이 아닌, 침체된 내수 경기 회복과 지역 불균형 해소, 그리고 신성장 산업 투자로 이어지는 경제 선순환 구조 복원을 위한 전략적 선택입니다.
정부는 연내 신속 집행을 목표로 하며, 국민 체감형 정책의 조기 실현에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 2025년도 제2차 추경 개요
구분 | 금액(조 원) | 주요 내용 |
---|---|---|
총 추경 규모 | 31.8조 원 | 기존 대비 +1.3조 원 증액 |
총지출 규모 | 703.3조 원 | 전년 대비 7.1% 증가 |
재원 조달 방식 | ① 기존 지출 감액: 1.1조 원② 추가 국채 발행: 1.3조 원 | |
재정수지 적자 | GDP 대비 4.2% (기존 3.3%) | |
국가채무비율 | GDP 대비 49.1% (기존 48.4%) |
💳 민생 회복 소비쿠폰 확대
국민의 소비 여력을 높이기 위한 민생 회복 소비쿠폰 지원이 대폭 강화됩니다.
-
국비 보조율 상향:
-
기존 서울 70%, 기타 지역 80%
-
변경 후: 서울 75%, 기타 지역 90%
-
-
전 국민 대상 1차 선지급(7월 중)
-
2개월 내 90% 국민에게 10만 원 추가 지급 예정
🌍 지역 균형 발전을 위한 지원 확대
수도권과 비수도권 간의 격차 해소를 위한 전방위적 지역 지원책도 포함됐습니다.
-
비수도권·인구감소지역 주민 대상 3만 원 추가 지원
-
지역사랑상품권 할인율 상향
-
산불 피해 지역 지원 확대:
-
대형 산림헬기 임차 확대 (3대)
-
송이 재배 농가에 대체작물 생산시설 지원
-
👨👩👧👦 취약계층 돌봄 및 보육 지원 강화
정부는 복지 사각지대 해소에도 적극적으로 나섭니다.
-
발달장애인 주간활동 서비스:
-
기존 1만 2000명 → 1만 5000명으로 확대
-
-
맞춤형 돌봄 인력 전문수당:
-
월 5만 원 → 15만 원 (3배 인상)
-
-
0~2세 및 장애 영유아 보육료 5% 인상
-
고효율 가전기기 구매 환급:
-
8월 초 신청 접수, 8월 말 지급 시작
-
🚀 신산업·미래 기술 분야 예산 확대
디지털 전환과 탄소중립 시대에 맞춰, AI·에너지·기후기술에 대한 투자도 강화됩니다.
투자 분야 | 증액 예산 | 주요 내용 |
---|---|---|
피지컬 AI 선도모델 | 426억 원 | 글로벌 AI 주도권 확보 목적 |
고전압 송전기술 | 60억 원 | 서해안 에너지고속도로 구축 |
차세대 태양전지 | 10억 원 | 고효율 에너지 기술 개발 |
대기오염 저감 IoT | 47억 원 | 소규모 사업장 측정기기 설치 |
🌾 농어업 및 수출 기업 지원 확대
-
국산콩 2만 톤 추가 비축: 1021억 원 증액
-
이상수온 대응 장비: 20억 원
-
청년농 정책자금: 3000억 원 추가 공급
-
수출기업 비용지원: 70개사 → 92개사로 확대
-
운영자금 저금리 융자: 40억 원 증액
🔽 감액 조정은 어떻게?
재정건전성을 고려해 일부 사업은 조정되었습니다.
-
펀드 사업 3개: 1600억 원 감액
-
ODA(공적개발원조) 3개 사업: 74억 원 감액
-
낙찰차액, 사업 축소 등으로 총 1조 1000억 원 감액
📌 앞으로의 일정은?
-
7월 5일 국무회의에서 배정 계획안 의결
-
각 부처 협업 브리핑 진행 예정
-
소비쿠폰·보육료·가전 환급금 등은 7~8월 중 지급 개시
-
채무조정기구 설립: 9월 중 본격 시행
✨ 결론: 국민 생활 밀착형 추경
2025년 2차 추경은 단순한 경제 지원책이 아닙니다.
민생 안정, 신산업 육성, 지방균형발전, 기후 대응이라는 대한민국 미래의 핵심 과제를 재정적으로 뒷받침하는 정책형 예산입니다.
정부는 재정의 역할을 충분히 발휘해 국민 체감도를 높이고, 경기 반등의 모멘텀을 만들겠다는 방침입니다.
✅ 관련 문의: 기획재정부 예산실 예산정책과 (044-215-7130)
✅ 더 많은 정책 정보는 기획재정부 공식 홈페이지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31조 8000억 원 규모 추경 국회 통과…소비쿠폰, 이달 1차 선지급